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뉴렉처
- AOP
- @RestController
- 메이븐
- JSP
- 자바
- STS
- 스프링
- Model2
- 프레임워크
- 서블릿
- 롬복
- MVC2
- 인텔리제이
- Join
- SQL
- Model1
- DDL
- MVC
- 프로그래머스
- 코테
- 서브쿼리
- 김영한
- 인프런
- Lombok
- toUpperCase
- 코딩테스트
- 기술 대비
- @Controller
- select
- Today
- Total
목록개발(~국비) (123)
Heestory

#.Serlvet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,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 자바를 사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한 기술 Java 코드 안에 HTML MVC 패턴에서 Controller로 이용된다.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 받는다. HTML 변경시 Servlet 재컴파일 해야한다. #.JSP Java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Server Side 스크립트 언어 HTML 코드 안에 Java 코드 Servlet를 보완하고 기술을 확장한 스크립트 방식 표준 JSP가 수정된 경우 WAS가 알아서 처리한다. MVC 패턴에서 View페이지 만들 때 사용 https://gmlwjd9405.github.io/2018/11/04/servlet-vs-jsp.html..

얼마전 MVC1 강의에서 잠깐 나온, 혹은 학원에서 배웠던 쿠키와 세션에 정리해보고자 한다. #.역할 HTTP 프로토콜에서 웹 브라우저가 서버를 요청을 하면, 서버에 알 맞은 동작을 한 후 웹 브라우저에 응답하고 연결을 종료한다. 이처럼 연결이 끊겼을 때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연결 정보를 계속 유지시켜 주는 수단 #.작동원리 클라이언트가 최초로 요청을 서버로 보낸다 웹 서버는 민감한 데이터를 서버에 직접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세션 ID 값만 쿠키 정보를 이용하여 전달 이후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때마다 전달받은 세션 ID를 사용한다. #.쿠키 클라이언트와의 연결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정보를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한 뒤에 웹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웹 브라우저에서 쿠키를 읽어서 사용 클아이언트 측에 저장된 연결정보..

@WebServlet : 서블릿 애노테이션 name : 서블릿 이름 urlPatterns : URL 매핑 HTTP 응답에서 Content-length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자동으로 생성해준다. HttpServletRequest,HttpServletResponse 역할 : HTTP 요청 메시지를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객체 HTTP 요청 메시지 START LINE - HTTP 메소드 - URL - 쿼리 스트링 - 스키마, 프로토콜 헤더 - 헤더 조회 바디 - form 파라미터 형식 조회 - message bodt 데이터 직접 조회 임시 저장소 :해더 HTTP 요청이 시작부터 끝날 때 까지 유지되지 임시 저장소 기능 저장 : request.setAttribute(name, value) 조회 : re..
스코프 종류 싱글톤 : 기본 스코프,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 프로토타입 :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는 매우 짧은 범위의 스코프 웹 관련 스코프 - request : 웹 요청이 들어오고 나갈 때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- session : 웹 세션이 생성되고 종료될 때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- application : 웹이 서블릿 컨텍스트와 같은 범위로 유지되는 스코프 프로토타입 스코프 :스프링 컨테이너에 조회하면(빈 요청 시점에) 스프링 컨테이너는 항상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반환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을 생성,의존관계주입,초기화까지만 처리 이후 클라이언트가 프로토타입을 관리 할 책임을 가지..

한 개의 문장이 주어지면 그 문장 속에서 가장 긴 단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. 문장을 split으로 잘라 배열에 넣은 다음, 각 문자의 길이를 비교하여 긴 단어를 출력하려 했는데 자꾸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에러가 발생했다. 처음 작성한 코드 public String solution(String str){ String answer =""; String[] s = str.split(" "); // System.out.println(Arrays.toString(s)); // System.out.println("배열 길이값: "+s.length); // System.out.println("값 확인: " +s[0] ); // System.out.println("값의 길..

코딩 테스트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배열 출력에 자꾸 메모리 주솟값이 나와 정리 처음 작성한 코드 public class Test04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tring str = "it is time to study"; String[] s = str.split(" "); System.out.println(s); } } 결과값 [Ljava.lang.String;@5594a1b5 (메모리 주소 출력) 배열 출력 하는 방법 2가지 1)반복문 돌려서 2)Arrays.toString(배열 변수명) 수정한 코드 public class Test04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tring str = "it is tim..
#1.문자 구별 Character.isUpperCase() : 대문자 구별 Character.isLowerCase() : 소문자 구별 Character.isDigit() : 숫자 구별 //대소문자 서로 바꿀 때 String answer=""; for(char c : str.toCharArray()){ if(Character.isLowerCase(c)) answer+=Character.toUpperCase(c); else answer += Character.toLowerCase(c); } //이런식으로도 쓸 수 있음 if(Character.isLowerCase(c)==true){ } #2.최댓값/최솟값 관련 - 선언 JAVA의 기본 데이터 타입 중 특히 정수형.MIN_VALUE : 데이터 타입이 표현 할 ..
빈 생명주기 콜백 시작 스프링 빈의 이벤트 라이프 사이클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→ 스프링 빈 생성 → 의존관계 주입 → 초기화 콜백 → 사용 → 소멸전 콜백 → 스프링 종료 초기화 콜백 : 빈이 생성되고, 빈의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된 후 호출 소멸전 콜백 : 빈이 소멸되기 직전에 호출 객체의 생성과 초기화를 분리하자 객체의 생성 : 생성자는 필수정보(파라미터)를 받고, 메모리를 할당해서 객체를 생성하는 책임을 가진다 초기화 : 이렇게 생성된 값들을 활용해서 외부 커넥션을 연락하는 무거운 동작 수행 → 유지 보수 관점에서 좋으며 초기화 작업이 내부 값들만 약간 변경하는 정도로 단순한 경우는 생성자에서 한번에 처리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빈 생명 주기 콜백 지원 하는 방법 인터페이스(Initializin..
한 개의 문자열을 입력받고, 특정 문자를 입력받아 해당 특정문자가 입력받은 문자열에 몇 개 존재하는지 코드 작성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으며 문자 길이는 100을 넘지 않는다 public class Test01 { public int solution(String str, char t){ int answer=0; str=str.toUpperCase(); t=Character.toUpperCase(t); //System.out.println(str+" "+t); /*for(int i=0; i
다양한 의존 관계 주입 방법 생성자 주입 수정자 주입(setter) 주입 필드 주입 일반 메서드 주입 생성자 주입 생성자 호출 시점에 딱 1번만 호출되는 것이 보장 불변,필수 의존관계에 사용 - 불변 : setter를 사용하기 되면 매개변수에 의해 값이 변경 될 수 있음 - 필수 : 필드 값에 final을 넣기 때문에 무조건 값이 있어야 하며, 생성자에 들어오는 값이 있어야 한다 → 생성자가 필수 값이기 때문에 빈 + 의존관계가 동시에 진행된다. 생성자가 딱 1개만 있으면 @Autowired를 생략해도 자동 주입 된다.(스프링 빈 내에서만) 생성자 주입에서만 final 키워드를 쓸 수 있다 → 컴파일 오류를 찾아준다 수정자 주입(setter 주입) setter 라 불리는 필드의 값을 변경하는 수정자 메서..